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지만, 모든 사람이 동일한 금액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하는 국민의 경우, 지원금이 2만 원 추가되어 최대 52만 원까지 수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농어촌’이라는 조건입니다.
단순히 인구가 줄어든 지역이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 중에서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된 곳만 해당되기 때문에 내 거주지가 그 안에 포함되는지를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이란 무엇인가요?
정부는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을 평가하여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의 추가 지원은 전체 소멸위험지역이 아닌, 농어촌 지역으로 한정된 84개 시군에만 적용됩니다.
다시 말해, 광역시나 대도시 내 일부 동 지역이 소멸위험 지표에 해당되더라도, 이번 정책에서는 제외됩니다. 지원의 취지는 생활 인프라가 부족하고 소멸 가능성이 높은 농촌·산촌·어촌 지역을 우선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2025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시군 리스트
아래는 2025년 현재 기준, 정부가 지정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시군 목록입니다. 총 84개 시군이 해당되며, 수도권 및 광역시는 제외됩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 평창군, 인제군, 양양군, 화천군, 고성군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 논산시,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 태안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전라북도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 함평군, 보성군, 화순군, 곡성군, 구례군, 강진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 영주시, 영천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이들 지역은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할 경우,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 1차 또는 2차 지급 대상자와 중복 적용되어 총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이면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할 경우, 최대 52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광역시는 왜 제외되었나요?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등 광역시는 이번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지원 기준에서 제외됩니다. 이유는 해당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정책적 보호 우선순위가 농촌·산촌 지역에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광역시 내에서도 소멸지수가 낮은 구역이 있더라도 이번 추가지급 혜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내가 사는 지역이 포함된다면 얼마를 더 받을 수 있나요?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기본 지급금 외에 2만 원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조합별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일반 국민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15만 원 + 2만 원 = 17만 원
- 소득 하위 90%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25만 원 + 2만 원 = 27만 원
- 차상위 계층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30만 원 + 2만 원 = 32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50만 원 + 2만 원 = 52만 원
이처럼 2만 원이라는 금액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가족 단위로 계산하면 4인 기준 최대 8만 원까지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꼭 해당 여부를 확인하고 놓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2025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을 받을때,
주소지 기준이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인지 여부는 금액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행정상 주소가 어디에 등록되어 있는지, 신청 당시 기준일에 맞춰 등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셔야 하고, 가구 구성원별 주소지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 부분을 간과하면 단순한 실수로 추가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지금이라도 주소지와 조건을 점검하신 후,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꼼꼼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