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작은 사마귀가 생겼는데, 별다른 통증이 없다면 그냥 두시나요? 특히 얼굴이나 목, 등 부위에 자주 발생하는 편평사마귀는 단순한 피부 트러블로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HPV 바이러스와 연관되어 전염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편평사마귀가 왜 생기는지, 그냥 두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HPV와의 관련성과 전염 가능성까지 정확히 짚어드리겠습니다.
편평사마귀는 어떤 사마귀인가요
편평사마귀는 피부 표면이 매끄럽고 평평하게 솟아오르는 사마귀로, 주로 얼굴, 이마, 목, 팔 등에 발생합니다. 크기는 작고 색도 피부색과 비슷해 초기에는 잘 눈에 띄지 않지만, 한 번 생기면 주변으로 점점 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방치하면 수십 개 이상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특히 면도나 손톱 자극으로 인해 더 쉽게 퍼질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편평사마귀의 주요 원인, HPV 감염
편평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 HPV 3, 10번 유형이 원인이 되며, 이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지만 면역력이 떨어질 경우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인 만큼 직접 접촉이나 공용 면도기, 수건 등을 통해 전염되기도 하며, 무증상 감염 상태에서도 타인에게 옮길 수 있어 가정 내 전파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단순한 피부 문제로 보기 어려운 이유
편평사마귀는 겉으로 보기에는 통증도 없고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문제는 ‘재발 가능성’과 ‘전염성’입니다. 피부과에서 제거해도 수개월 내 재발하거나, 가족이나 연인에게 옮기는 경우도 실제로 많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 노인, 피부가 민감한 사람에게는 더 빠르게 퍼질 수 있어 초기부터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사마귀가 생긴 부위를 무심코 긁거나 문지르면 다른 부위로 확산되는 것도 흔합니다.
HPV 관련 질환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HPV는 자궁경부암과 같은 여성 생식기 문제로만 인식하지만, 편평사마귀 또한 HPV가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비록 저위험군이더라도 만성화되면 외모상 스트레스는 물론, 타인에게 전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료보다는 예방’, ‘초기 대응’이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편평사마귀가 반복되거나 부위가 확산된다면 HPV 바이러스 보균 가능성도 의심해보고, 필요 시 HPV 검사까지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경부암 검사, HPV 검사는 어떻게 다른가요? 시기 방법 비용 정리
🔗여자친구 HPV, 남자도 검사 받아야 할까? 감염경로 정리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편평사마귀의 치료는 냉동요법, 레이저, 전기소작술 등 피부과적 시술을 통해 제거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치료 후에는 일정 기간 재발 방지를 위한 면역 관리와 위생 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하며, 체내 HPV 소멸 여부는 따로 조직검사나 HPV 유전자 검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면역력 향상 보조제를 함께 병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마귀 제거 후에도 3개월 이상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평사마귀가 생겼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점
단순히 외형만 보고 ‘잡티’로 넘기기보다는, 편평사마귀가 반복되거나 개수가 늘어난다면 HPV 감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피부 자극이 잦은 부위에서 생긴 경우, 위생이나 습관 개선 없이 방치할 경우 주변 부위로의 확산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마귀가 난 부위를 면도하거나 손으로 자주 만지는 습관은 최대한 피하고, 피부과 방문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Q. 편평사마귀는 통증이 없는데 꼭 제거해야 하나요?
A. 초기에는 통증이 없어도, 시간이 지날수록 확산되거나 미용상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염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치료를 권장합니다.
Q. 편평사마귀도 성병인가요?
A. 성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HPV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성접촉 외에도 접촉 전염이 가능합니다.
Q. 편평사마귀 제거 후 재발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A. 면역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약 20~30%는 재발 가능성이 있어 치료 후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편평사마귀는 단순한 피부문제가 아니라,
HPV 감염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무증상 상태에서도 전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마시고, 이상 징후가 있다면 반드시 조기에 진단받으시기 바랍니다.
예방과 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시리즈 글을 계속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HPV 감염이 의심될 경우 🔗예방접종알리미 누리집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대상 여부, 금액, 병원등을 알아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